이 강의는 운영에 관한. 유저대응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강의였다.
가볍게 들을만한 내용이었다고 생각한다.
유저 대응의 방법으로는 2가지가 있다.
1. 적극적 - 개발자노트, 커뮤니티, 블로그 대응
2. 소극적 - 환호할때에도 나서지않고 다음 개선을 묵묵히 준비한다.
최대한 전면에 나서지않기.
유저대응은 펜션 사장님처럼 해야한다. 묵묵히 뒤에서 필요한것만 챙겨줘야함.
사람 대 사람. 유저와의 신뢰치를 쌓아야 한다.
데이터분석과 유저대응
데이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으나 단면만 볼 수 있는 경우가 많다.
입소문이나 밴드왜건을 신경써야 한다.
시장에 맞서지말고 함께 호흡하기
- 골든타임을 준수한다
- 장애 빨리 시인하고 사과
- 작은 것이라도 약속한 것은 반드시 지키려한다
점검의 역발상(점검보상)
반대의견도 많았지만 고객과의 신뢰를 더 중요시해 실시하여 성공
프로세스개선
높아진 눈높이. 하지만 높이기 어려운 생산성.
기민한 유저대응 위한 프로세스 개선이 필요함.
'프로그래밍 공부 > NDC 2018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일차] <주사위의 신> 페이퍼 버전으로 게임 룰 설계하기 (0) | 2018.04.27 |
---|---|
[2일차] <AxE> 클라이언트 최적화와 문제해결-MMORPG를 Unity로 만들 때 겪을 수 있는 이야기 (0) | 2018.04.27 |
[2일차] 좋은 이름, 나쁜 이름, 이상한 이름 (0) | 2018.04.27 |
[2일차] <프로젝트DH> AI 내비게이션 시스템 - 공중 내비게이션 시스템 개발기 (0) | 2018.04.27 |
[2일차] 던전앤파이터 게임 그래픽 리소스를 활용한 실시간 웹 이미지 조합 (0) | 2018.04.27 |